최근 6호 태풍 카눈이 발생하여 한반도와 주변 지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전에 발생한 5호 태풍 독수리가 필리핀 루손섬과 대만 타이완섬 사이를 지나 중국 내륙으로 진입하여 앞으로 72시간(3일) 내로 소멸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새 태풍인 카눈이 바톤 터치를 하는 상황이다.
일본 기상청은 26일 오후 9시 예보 업데이트를 통해 태풍 독수리의 예상경로를 알려주며 태풍 카눈으로 발달할 예정인 열대저압부의 예상경로도 밝혔다. 카눈은 독수리보다 동쪽에서 북서진을 할 전망이다. 이 열대저압부는 오키나와 군도의 중심지인 오키나와 본섬 나하시 일대를 관통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후 10시, 기상청은 태풍 독수리의 예상경로 업데이트 후 오후 10시 50분, 10호 열대저압부 발생 소식을 알렸다. 해당 열대저압부는 7월 31일쯤 오키나와 본섬에 다다르는 북서진 경로를 전망하고 있으며, 기상청은 "24시간 이내에 태풍 카눈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일본과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 모델 등은 10호 열대저압부의 경로로 중국 상하이 일대를 예상하고 있다. 이는 기상청과 유사한 결과로, 7월 31일부터 8월 1일 사이에 오키나와 본섬 내지는 주변 지역을 남에서 북으로 관통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태풍 카눈은 기존의 북서진 경로를 좀 더 서쪽으로 꺾일 가능성이 있다. 만약 카눈이 좀 더 동쪽에서 북상했다면 우리나라 제주도를 거쳐 서해로 진입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북태평양 고기압의 서쪽 확장에 따라 태풍의 경로 역시 서쪽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북태평양 고기압은 서쪽으로 크게 확장하며 태풍과 함께 장마전선도 서쪽으로 밀려났다. 이에 따라 기상청은 이날 오전 11시 브리핑을 통해 올해 장마의 종료(=한여름 시작)를 선언했다.
태풍 카눈을 비롯하여 앞으로 만들어질 태풍들의 이동경로 역시 북태평양 고기압의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여름에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서쪽으로 크게 확장한 후 가을이 되면서 동쪽으로 점차 쪼그라들 가능성이 있다.
기상청과 기상당국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여름 동안 힘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하며 태풍 카눈에 대해서도 오키나와행 뒤에는 상하이행을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기상 상황은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예보와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주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태풍 카눈의 이동 경로와 영향을 예방하고 대비하기 위해 기상청과 기상당국의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고, 안전한 대처가 필요하다. 태풍 카눈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주변 지역 주민들은 특히 주의해야 할 시기이다.
댓글